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ss
- 자바
- jquery
- linux
- 주식 청약
- 코드이그나이터
- IPO
- 주식 청약 일정
- 제이쿼리
- 공모주 청약
- 공모주
- codeigniter
- Eclipse
- 리눅스
- 자바스크립트
- JavaScript
- php
- 오라클
- 7월 공모주 청약 일정
- 맥
- java
- Stock ipo
- 공모주 청약 일정
- html
- 주식
- MYSQL
- Stock
- Oracle
- 6월 공모주 청약 일정
- SQL
- Today
- Total
목록개발/springboot (21)
개발자의 끄적끄적
[springboot] 스프링부트 프로필 선택하여 jar 실행하기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jar 로 필드 한 후 리눅스 서버에서 구동을 시킬때, java - jar 명령어를 이용하여 구동 시킵니다. 그중 프로필을 여러개로 분리하여 관리하실때, 프로필별로 jar 파일을 실행하는 명령어입니다! java -jar -Dspring.profiles.active=[프로필명] [빌드된 jar 파일명] 위 내용 처럼 -Dspring.profiles.active=실행할 프로필 파일명을 입력해서 실행하면 됩니다! java -jar -Dspring.profiles.active=prod sample-1.0.0.jar 위 실행 예제는 제 개발환경 기준이고, 저는 prod 와 dev 환경으로 분리하여 관리합니다. 참고들 하세요!
[springboot] 스프링부트 jar 파일 백그라운드 실행방법 리눅스에서 jar 파일로 빌드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실행할때는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면 됩니다. java –jar [빌드된 jar 파일] 하지만 위 명령어는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게 아니라, ctrl + c 를 눌러 종료하면 프로세스가 종료됩니다. 따라서 계속 구동이 되려면 백그라운드로 구동을 해야합니다. 아래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명령어 입니다. nohup java –jar [빌드된 jar 파일] & 위 명령어처럼 nohup java - jar 뒤에 빌드된 파일명과 & 를 붙여서 실행해주면 됩니다. nohup java –jar sample-1.0.0.jar & 저는 프로젝트명이 sample 이고 gradle 에 기재된 버전이 1..
[springboot] 스프링부트 jar 빌드 후 리눅스에서 실행방법 스프링부트를 jar 파일로 배포하기 위해서 빌드 한 뒤 서버에서 구동을 하려면 아래 명령어로 실행하시면 됩니다! java –jar [빌드된 jar 파일] 위처럼 java - jar 뒤에 빌드한 jar 파일명을 확장자까지 넣어서 실행하면 됩니다! 아래는 예제입니다. java –jar sample-1.0.0.jar 저는 프로젝트명이 sample 이고 gradle 에 기재된 버전 정보가 1.0.0 이라 빌드한 파일명이 sample-1.0.0.jar 이어서 위처럼 실행한 내용입니다! 참고들 하세요!

[springboot] Mac Intellij jar 배포 방법 인텔리j 에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작업을 완료하고 배포를 시켜야 할때 보통 jar 파일로 배포를 많이 합니다. 그럴때 아래 방법으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저는 Mac 에서 개발을 해서 Mac 인텔리j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command + e 를 눌러서 아래와 같은 창이 뜨면 Gradle 항목을 클릭한다. 2. 인텔리j Gradle 탭이 열리면 아래 이미지에 나와있는 것처럼 bootJar 를 눌러서 파일을 생성합니다. 3. 서버에 올리고 실행한다. 위 방법대로 진행하시면 독립적으로 구동이 되는 jar 파일로 배포가 가능합니다! 참고들 하세요!
[springboot/jpa] querydsl dependency 설정하기 스프링부트 프로젝트에서 querydsl 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jpa hibernate 방식과는 또 다른 쿼리날리는 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해당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dependency 에 아래 내용을 추가해야 합니다! // QueryDSL implementation("com.querydsl:querydsl-jpa:4.4.0") annotationProcessor("com.querydsl:querydsl-apt:4.4.0:jpa") 제 개발환경인 gradle 환경을 기준으로 작성된 내용입니다! 참고들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