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tock ipo
- 주식
- 7월 공모주 청약 일정
- MYSQL
- 자바스크립트
- codeigniter
- 공모주
- 주식 청약
- JavaScript
- html
- Stock
- jquery
- 공모주 청약 일정
- Oracle
- 코드이그나이터
- 6월 공모주 청약 일정
- java
- 자바
- Eclipse
- 맥
- 제이쿼리
- IPO
- SQL
- 주식 청약 일정
- linux
- 리눅스
- css
- 오라클
- 공모주 청약
- php
- Today
- Total
개발자의 끄적끄적
[Linux] 작업 스케줄러 크론탭(crontab)을 사용[펌] 본문
[Linux] 작업 스케줄러 크론탭(crontab)을 사용[펌]
개요
본 포스트에서는 CentOS의 작업 스케줄러인 crontab의 기본적인 동작 및 사용법에 대해 작성하고자 한다.
crontab은 특정 프로세스를 정해진 날짜에 실행하거나, 특정 연/월/일/분/초 마다 반복할 수 있으며 실행한 프로세스의 output string을 logging하는 등 bash로 할 수 있는 모든 작업이 가능하기때문에 배치batch 프로세스에 최적화되어있다고 할 수 있다.
실행방법
crontab -e
규칙
* * * * * $(BASH COMMAND) ┬ ┬ ┬ ┬ ┬ │ │ │ │ │ │ │ │ │ │ │ │ │ │ └───────── 요일 (0~6) (0:일요일, 1:월요일 ... 5:금요일, 6:토요일) │ │ │ └────────── 월 (1~12) │ │ └─────────── 일 (1~31) │ └──────────── 시 (0~23) └───────────── 분 (0~59)
예제
1) 1분마다 sh /root/daemon/daemon_up.sh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고, 그 프로세스에서 출력한 output string을 /root/daemon/log/2016-01-14.log 에 저장* * * * * sh /root/daemon/daemon_up.sh >> /root/daemon/log/2016-01-14.log
2) 동일한 프로세스를 10분마다 실행
*/10 * * * * sh /root/daemon/daemon_up.sh >> /root/daemon/log/2016-01-14.log
3) 동일한 프로세스를 매시 15분이 될때마다 실행
15 * * * * sh /root/daemon/daemon_up.sh >> /root/daemon/log/2016-01-14.log
4) 동일한 프로세스를 1시간마다 실행
0 * * * * sh /root/daemon/daemon_up.sh >> /root/daemon/log/2016-01-14.log
4) 동일한 프로세스를 2시간마다 실행
0 */2 * * * sh /root/daemon/daemon_up.sh >> /root/daemon/log/2016-01-14.log
5) 동일한 프로세스를 매일 오후 2시 30분마다 실행
30 14 * * * sh /root/daemon/daemon_up.sh >> /root/daemon/log/2016-01-14.log
'개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CentOS TimeZone 변경하기 [펌] (0) | 2020.08.19 |
---|---|
[Linux] 리눅스 디렉토리 삭제 [펌] (0) | 2020.08.19 |
[linux] 리눅스 날짜별 폴더 생성 스크립트 (0) | 2020.08.18 |
[쉘스크립트] crontab 및 mysqldump 실행하여 주기적 DB백업 수행 (0) | 2020.08.17 |
[linux]리눅스에서 특정명령어 또는 서비스 자동시작하게 하는 방법 (0) | 2020.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