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공모주 청약 일정
- 7월 공모주 청약 일정
- 오라클
- 제이쿼리
- jquery
- Stock
- Oracle
- 공모주 청약
- 리눅스
- linux
- 6월 공모주 청약 일정
- css
- JavaScript
- 자바스크립트
- Stock ipo
- 주식
- IPO
- MYSQL
- 코드이그나이터
- 공모주
- 주식 청약 일정
- 자바
- 주식 청약
- java
- html
- SQL
- Eclipse
- php
- codeigniter
- 맥
- Today
- Total
목록AWS (24)
개발자의 끄적끄적
[개발/참고] amazon linux 2 지원 종료 일자 및 amazon linux 2023 설명 AWS EC2 를 사용하다보면 OS가 자동설치되는데 해당 OS 도 지원주기는 길지만, EOS(서비스 지원 종료) 주기는 존재하기 때문에 잘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비스를 유지하는데 는 문제가 없을 수도 있지만, 유지보수나 신규 서버를 세팅할때 잘 체크해봐야 나중에 불필요한 서버교체나 이슈를 막을 수 있습니다! 지금은 현재 Amazon Linux 2023 으로 설치가 되지만, 직전 OS 였던 Amazon linux 2 의 종료일자 확인을 위해 공유하려고 합니다! 위 이미지와 같이 2025년 6월 30일에 종료되니 지금 시점으로 보면 2년도 안남은거네요! ㅎㅎ 그러면 기존에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들에 대한 ..
[linux/aws] aws s3 cli [SSL: CERTIFICATE_VERIFY_FAILED] certificate verify failed error 해결 방법 aws s3 를 이용하다보면 cli 로 파일을 업로드 / 다운로드 하거나, 버킷을 목록을 조회하는 등의 액션을 취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게 커맨드 라인에서 명령어를 실행하다 보면 아래와 같이 ssl 관련 오류가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SSL: CERTIFICATE_VERIFY_FAILED] certificate verify failed 그럴때는 실행명령어에 아래 옵션을 추가해서 실행하시면 됩니다! --no-verify-ssl ssl 인증을 무시하고 업로드 한다는 내용인데요! 보안에 취약할 수 있지만, 신뢰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
[aws] aws s3 TLS1.2 설정 방법 [링크] aws 를 사용하다보면 tls1.2v 로 변경하라는 안내 메일이 자주옵니다. 기존에 tls1.0 혹은 tls1.1 이 1.2로 업데이트 되어가는 과정이라 보안상 업데이트가필요하다는 내용인데요! 그중에서 s3 도 tls 1.2 로 업데이트하라는 부분에 대해 공유하려고 합니다! cloudfront 를 이용하면 문제없다고 되어있지만, 그렇지 못한 환경에서는 버킷정책 부분에 아래와 같이 정책을 추가 혹은 수정하시면 됩니다! { "Version": "2012-10-17", "Statement": [ { "Sid": "EnforceTLSv12orHigher", "Effect": "Deny", "Principal": { "AWS": "*" }, "Action":..
[개발/aws] aws tls 보안 프로토콜 버전 수정하는 방법 aws 를 이용하여 웹 서비스를 운영하다보면 보안 취약점 사항으로 TLS 버전에 관한 이슈가 발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때 참고할만한 글이 있어서 공유하려고 합니다! 아래들어가서 보시면 순서가 잘 정리되어 있어서 바로 이해하실수 있을듯 합니다! 참고들하세요! AWS TLS 설정 방법 : https://green-joo.tistory.com/48 AWS에서 보안(TLS) 프로토콜 버전 수정(TLS 1.0과 TLS 1.1 비활성화) 및 보안 구성 테스트 방법 ( AWS / EC2 안녕하세요. 그린주입니다 ๑'ٮ'๑ 오늘도 힘차게 시작해보겠습니다! 개요 이번 글에서는 AWS에서 보안(TLS) 프로토콜 버전을 수정하고 보안 구성 테스트하는 방법..
[was/server] aws ec2 하드디스크 증설 반영 에러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에러 해결 방법 aws ec2 를 다루다 보면 디스크 용량이 꽉차서 증가시켜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때 aws 에서 증설하고 ec2 서버에 들어가서 증설된 내용을 반영해야 하는데요. 최종적으로 증설된 내용을 마운트된 디스크에 반영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위 명령어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에러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때는 아래 명령어로 하드디스크에 대한 내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위 명령어를 실행해보면 아래와 같이 디스크 정보가 나오는데요, 빨간 박스와 같이 xfs 라고 되어 있으실 겁니다. 위와 같이 되어 있는 경우는 resize2fs 명령어가 아니라, 아래 이미지와 ..
[server/aws] aws eip address limit exceeded 해결 방법 1. 우측상단의 물음표(?)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메뉴중 지원센터를 클릭합니다. 2. create case 버튼을 눌러서 필요한 내용을 등록합니다. 3. 빨간 네모 박스에 있는 서비스 한도 증가를 클릭 합니다. 4. Service limit increase 선택 후, Limit type 를 Elastic IPs 를 선택하고 region 과 늘리고 싶은 제한 수치를 입력하고, description 에 상세 설명이 있는경우 입력하면 됩니다. 그리고 화면 아래쪽을 보면, 연락받을 수단을 선택하는데 원하는 수단을 선택후 저장하시면 거의 30분내도 다 해결됩니다! 참고들 하세요!
[sql/rds] aws rds too many connections error 해결 방법 rds 를 이용하다보면 max_connection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럴때는 파라미터 그룹은 생성해서 편집하고, rds 에서 바꿔주면 된답니다! 해당 에러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가 참고한 링크 2개를 공유하려고 합니다! 1. wait_timeout / interactive_timeout 에 관한 설명 https://lion-king.tistory.com/entry/MySQL-MariaDB-max-connections-Too-many-connections-%EC%98%A4%EB%A5%98-%ED%95%B4%EA%B2%B0 (MySQL / MariaDB) Too many connections 해결 ..
[개발/aws] aws rds 외부접속 설정하는 방법 amazon aws 를 이용해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인 rds 를 구축하다보면 퍼블릭 엑세스를 승인하고도 외부에서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퍼블릭 엑세스가 열려있다고 하더라도, 어디서나 접속이 가능하게 보안그룹은 추가 또는 수정해주어야 합니다! 아래 링크 들어가시면 보안그룹 설정하는 방법이 잘 설명되어있으니! 참고하셔서 설정하시면 됩니다! aws rds 외부접속 설정 방법 : https://zzang9ha.tistory.com/325 AWS RDS 외부 접속 • 안녕하세요~ 이전에 운영하던 블로그 및 GitHub, 공부 내용을 정리하는 Study-GitHub 가 있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 GitHub • Study-GitHub • 🐔 ✔ 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