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공모주 청약 일정
- 공모주 청약
- SQL
- 코드이그나이터
- Oracle
- css
- IPO
- JavaScript
- 주식
- Eclipse
- 자바
- 7월 공모주 청약 일정
- jquery
- 자바스크립트
- Stock
- 주식 청약 일정
- MYSQL
- 제이쿼리
- 리눅스
- html
- 공모주
- java
- linux
- Stock ipo
- 6월 공모주 청약 일정
- 오라클
- 맥
- php
- codeigniter
- 주식 청약
- Today
- Total
목록리눅스 (156)
개발자의 끄적끄적
[linux] 아파치(apache) 서비스 활성 여부 리눅스에서 아파치 설치 여부 확인 명령어 rpm -qa | grep httpd 아파치 버전 확인 명령어 httpd -v 아파치 웹 서버 주요 파일 및 위치 /usr/sbin/httpd -> 아파치 웹 서버 데몬 /etc/httpd/conf/httpd.conf -> httpd의 전체 환경 설정 파일 /etc/httpd/conf.d -> httpd에 사용하는 상세 설정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apache ver 2.x부터 사용 /etc/rc.d/init.d/httpd -> httpd 실행 제어 스크립트 파일. httpd 데몬의 가동 상태를 확인하고 가동 및 정지하기 /etc/rc.d/init.d/httpd status 아파치 웹 서버 활성화 확인 명령어 ..
[linux] 리눅스 Crontab 크론탭 설정 : 시작 / 중지 / 재시작 / wget / curl [펌] 리눅스 서버를 이용하면서... 예약작업을 하기위해서 필수인 crontab 작업...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 사용하기에 잊기 쉽상이다... 아니 잊었다... 기억력도 좋지 않은데...ㅠㅠ 크론탭 시작 service crond start 크론탭 중지 service crond stop 크론탭 재시작 service crond restart 크론탭 설치여부 확인(피드백이 있다면 설치되어있는거임.) ps -ef | grep cron wget 사용 0 0 * * * /usr/bin/wget http://test.co.kr/test curl 사용 0 0 * * * /usr/bin/curl http://test...
[리눅스] 리눅스 tar, gz 압축 및 해제 [펌]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tar 혹은 tar.gz로 압축을 하거나 압축을 풀어야 할 경우가 자주 생긴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 리눅스에서는 tar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tar 명령어도 여러가지 옵션이 있지만 각 옵션에 대해서 알아보기 보단,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패턴만 정리한다. 1. tar로 압축하기 > tar -cvf [파일명.tar] [폴더명] ex) abc라는 폴더를 aaa.tar로 압축하고자 한다면 > tar -cvf aaa.tar abc 2. tar 압축 풀기 > tar -xvf [파일명.tar] ex) aaa.tar라는 tar파일 압축을 풀고자 한다면 > tar -xvf aaa.tar 3. tar.gz로 압축하기 > tar -zc..
[Linux] 리눅스 디렉토리 삭제 [펌] 리눅스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할 때 쓰는 명령어로는 rm, rmdir이 있습니다. 이 두 명령어는 삭제 시 삭제 재확인을 받게 되고 y를 누르면 디렉토리 또는 파일에 대한 삭제를 수행합니다. 그렇다면 리눅스 디렉토리 삭제 명령어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봅시다 1. rm -r : 해당 폴더안에 있는 모든 파일들까지 같이 삭제하고 자기자신 즉 폴더까지 삭제하는 옵션 -i : 각 파일들이나 폴더를 삭제할 때 삭제할 것인가를 묻도록 하는 옵션 -f : 파일이 있든 없든 오류를 표출하지 않고 무조건 삭제하는 옵션 rm -rf [디렉토리명] // 리눅스 디렉토리(하위 디렉토리, 파일 포함)를 삭제 rm -rf * //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것을 삭제 2. rmdir r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oobJ/btqGGWw6K1d/5O0WW4CwBQyw8BFMDbuink/img.png)
[Linux] 작업 스케줄러 크론탭(crontab)을 사용[펌] 개요 본 포스트에서는 CentOS의 작업 스케줄러인 crontab의 기본적인 동작 및 사용법에 대해 작성하고자 한다. crontab은 특정 프로세스를 정해진 날짜에 실행하거나, 특정 연/월/일/분/초 마다 반복할 수 있으며 실행한 프로세스의 output string을 logging하는 등 bash로 할 수 있는 모든 작업이 가능하기때문에 배치batch 프로세스에 최적화되어있다고 할 수 있다. 실행방법 crontab -e 규칙 * * * * * $(BASH COMMAND) ┬ ┬ ┬ ┬ ┬ │ │ │ │ │ │ │ │ │ │ │ │ │ │ └───────── 요일 (0~6) (0:일요일, 1:월요일 ... 5:금요일, 6:토요일) │ │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UVLli/btqGGWw6CGG/iMLw9rbQGIl4OI7hFVQTj0/img.jpg)
[linux] 리눅스 날짜별 폴더 생성 스크립트 ** 해당 날짜별로 폴더 생성 스크립트를 생성해 본다!! 1. 스크립트 생성 vi folder.sh #!/bin/sh datetime=`date +%Y%m%d` mkdir /home/bluemary/$datetime 2. 해당 날짜마다 자동 생성하게 하기 위해 crontab 등록 vi /etc/crontab 00 0 * * * root /bin/sh /home/scripts/folder.sh 3. 크론 재시작 /etc/init.d/crond restart ** 밤 12시 마다 /home/bluemary/날짜 폴더가 생성 된다. 출처: https://wnstjqdl.tistory.com/entry/리눅스-날짜별-폴더-생성-스크립트 [IT Service 운영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EfRM/btqFzGUVZAe/oKFYGuB3KRxDN1yDu03Zx0/img.png)
[linux]리눅스에서 특정명령어 또는 서비스 자동시작하게 하는 방법 /etc/rc.d/rc.local 에 해당 실행 명령어나 스크립트 등록 /etc/rc.d/rc3.d 같은 런레벨 파일에 바로 등록 등록 방법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1번 등록 시 주의사항은 일반적인 리눅스 명령어 사용시에는 절대경로로 사용하셔야합니다. [root@ltm6-demo rc.d]# ls init.d rc rc0.d rc1.d rc2.d rc3.d rc4.d rc5.d rc6.d rc.local rc.sysinit [root@ltm6-demo rc.d]# /bin/ls init.d rc rc0.d rc1.d rc2.d rc3.d rc4.d rc5.d rc6.d rc.local rc.sysinit [root@ltm6-demo r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aQta4/btqFyfdzaHc/pifKSLO3A7j6JCRua0LmE1/img.png)
[CentOS 7] 서비스( Service ) 등록, 관리 [펌] 1. 서비스란? 서비스는 윈도우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제어판에서 서비스를 검색하시면 현재 윈도우에서 구동중인 서비스 목록들을 볼 수 있으며, 서비스 관리( 수동 시작, 중지 등 )를 할 수도 있습니다. 리눅스에서도 서버가 실행되면 어떤 서비스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서비스를 자동으로 실행시키려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예를들어 어떤 서버에 톰캣 위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웹 서비스는 24시간 돌아가야 하는데, 예상치 못한 이유로 서버가 다운이 되었을 때 어떻게 조치를 할까요? 서비스로 등록이 되어 있지 않다면, 서버 관리자가 root 계정으로 접속을 해서 톰캣을 실행 시키는 명령어를 직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