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끄적끄적

[자동차] 엔진오일 교체 시 '플러싱' 이란? 본문

기타/정보

[자동차] 엔진오일 교체 시 '플러싱' 이란?

효벨 2025. 7. 24. 15:00
728x90
반응형

[자동차] 엔진오일 교체 시 '플러싱' 이란?

 

made by Gemini

 

 

안녕하세요!

 

오늘은 차량 점검에 관련해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엔진오일은 주기마다 잘 갈아주는것이 중요한데요!

 

그중에서도 '플러싱' 을 할건지 말건지 물어보고 추가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플러싱' 이 무엇인지,

 

장/단점은 무엇인지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플러싱이란?

 

 

엔진 내부의 찌꺼기, 슬러지(검은 찌꺼기), 카본 등을 세정해내기 위해 세정제를 넣어 오일 순환을 통해 청소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보통 오래된 차량이나, 엔진오일 교환 주기를 많이 넘겨 슬러지가 많이 낀 경우에 권장됩니다.

 

 


 

플러싱 과정

 

  1. **엔진 세정제(플러싱 오일)**를 기존 엔진오일에 주입.
  2. 시동을 걸어 10~15분 정도 공회전을 하며 세정제가 엔진 내부를 순환하게 함.
  3. 기존 엔진오일과 세정제를 모두 배출.
  4. 새 엔진오일과 오일 필터로 교체.

 


 

플러싱의 장점

 

  • 엔진 내부에 쌓인 슬러지와 카본 찌꺼기를 제거.
  • 새 오일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음.
  • 오일 유로(오일 통로)를 깨끗하게 유지해 엔진 수명을 연장.

 


 

플러싱의 단점 및 주의사항

 

  • **오래된 차량(주행거리 10만 km 이상)**에서 갑작스러운 플러싱은 오히려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
    • 오래된 슬러지가 떨어져 나가면서 오일 통로를 막을 수 있음.
  • 플러싱 오일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으면 새 오일의 점도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매번 교환 시 플러싱할 필요는 없으며, 통상 3~5만 km 마다 1회 정도가 적당함.

 


 

플러싱이 필요한 경우

 

  • 엔진오일 교환을 장기간 하지 않아 내부가 심하게 오염된 경우.
  • 중고차 구매 시 엔진 관리 상태를 알 수 없는 경우.
  • 고성능 차량이나 장거리 주행이 잦은 차량에서 주기적으로 관리할 때.

 


 

 

이렇게 플러싱에 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제가 몇일전에 27000km 가 되어 오일 교체 주기가 되서 교체하고

 

플러싱을 같이 진행했는데요!

 

차가 부드럽게 잘 나가는 느낌(?)이 있더라구요!

 

아이들과 장거리를 자주 놀러가서 그런지 플러싱도 2~3회 정도 오일 교체할때 한번씩 해주려고 합니다!

 

다들 정비하실때 플러싱 해야되는지 꼭 확인하고 진행하시는게 

 

차량을 잘 유지하시는데 도움이 되실듯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공감/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