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끄적끄적

[용어] SEO vs GEO 차이점!! 본문

기타/정보

[용어] SEO vs GEO 차이점!!

효벨 2025. 10. 14. 09:00
728x90
반응형

[용어] SEO vs GEO 차이점!! 

 

generated by Gemini

 

 

안녕하세요!

 

어제는 GEO가 뭔지에 대해서

 

자세히 정리해봤는데요!

 

그렇다면

 

GEO 와 SEO 의 차이가 뭔지 정리가 필요할거 같아서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SEO vs GEO — 한눈에 요약

 

  • SEO: 검색엔진(주로 키워드 기반의 웹 검색, SERP)에 맞춰 웹페이지·콘텐츠를 최적화해 유기적 트래픽(클릭)을 늘리는 활동. 🔎
  • GEO: 생성형 엔진(LLM, AI 요약/대화형 검색)이 답을 만들 때 내 콘텐츠가 ‘근거·출처’로 인용되거나 직접 요약·재생산되도록 최적화하는 활동. 🧠

 


 

1) 목적(Primary Goal)

 

 

  • 🔎 SEO: 검색 결과에서 상위 노출 → 사용자 클릭(사이트 방문)과 전환(구매·가입 등) 증가.
    • 예: 구글 검색 1위로 올려 클릭률(CTR) 최대화.
  • 🧠 GEO: AI가 ‘답’을 만들 때 내 콘텐츠가 선택·요약되어 사용자에게 직접 제시되도록 하여 브랜드 인지도·신뢰·간접 트래픽 확보.
    • 예: ChatGPT가 “OO에 대해 설명해줘”라고 물을 때 내 문단을 근거로 요약해 인용 표시되거나 “더 읽기” 링크로 유입.

 

 


 

2) 노출 형태(What appears to users)

 

 

  • 🔎 SEO: 제목(Title), 메타 설명, 검색 스니펫, 피처드 스니펫, 리치 리절트(리뷰·FAQ 마크업) 등.
  • 🧠 GEO: 대화형 응답, 요약 카드, 출처 인용(“출처: 사이트명”), 생성된 문단(LLM이 재작성한 내용).

 


 

 


3) 핵심 평가 신호(Signals)

 

 

  • 🔎 SEO: 키워드 적합성, 페이지 품질(Content Quality), 백링크·도메인 권위(Authority), 페이지 속도, 모바일 친화성, 사용자 행태(체류시간·이탈률) 등.
  • 🧠 GEO: 명확한 핵심 문장(Answer-first), 구조화된 데이터(JSON-LD/Schema), 신뢰성(저자·출처), 최신성, 문서의 ‘조각’(FAQ/요약 가능성), 접근성(크롤링·indexing 허용 여부).

 


 

4) 콘텐츠 구조(Format & Structure)

 

 

  • 🔎 SEO: 키워드 타겟팅 → 서브헤더(H2/H3) → 길이·깊이 → 내부링크·이미지 최적화.
  • 🧠 GEO: 짧고 발췌 가능한 문단(50–120자), 명확한 결론(첫 문장), FAQ/HowTo 블록, 표·숫자·근거가 바로 보이는 구조, JSON-LD로 메타 제공.

 

실전 팁: 같은 페이지라도 “SEO용 긴 설명(아래)” + “GEO용 요약 박스(위)”를 동시에 두면 둘 다 효과를 볼 확률이 높아집니다.

 

 

 


 

5) 기술적 요소(Tech)

 

 

  • 🔎 SEO: robots.txt, sitemap, canonical, meta tags, OpenGraph, Core Web Vitals(속도) 등.
  • 🧠 GEO: 위 항목에 더해 Schema.org JSON-LD(Article, FAQ, HowTo, Organization, Author), 공개 가능한 원문·데이터, API/피드로의 콘텐츠 노출 허용(크롤러/데이터 피드).

 


 

 


 

6) 최적화 기법(How-to) — 비교형 리스트

 

 

  • 🔎 SEO 핵심 행동
    • 키워드 리서치 → 콘텐츠 제작(키워드 밀도·LSI) → 백링크 구축 → 기술 SEO 개선
  • 🧠 GEO 핵심 행동
    • 콘텐츠의 Answer-first 문단 작성 → FAQ·요약 블록 추가 → JSON-LD로 구조화 → 출처·증거(데이터·링크) 명시 → 콘텐츠 단편(발췌) 준비
  • 병행 팁: SEO가 ‘클릭을 유도’하면 GEO는 ‘클릭 없이도 브랜드가 답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둘을 함께 설계하세요.

 


 

7) 측정 지표(KPIs)

 

 

  • 🔎 SEO: 유기적 트래픽, 키워드 순위, CTR, 페이지별 이탈률·체류시간, 전환율.
  • 🧠 GEO: AI/챗봇에서의 인용 수·출처 표기 횟수, AI 유입으로 이어진 클릭(“더 읽기” 클릭률), 브랜드 노출(언급) 증가, AI 응답의 정확성(환각률).
  • 주의: GEO는 플랫폼(LLM)에 따라 지표 접근성이 다릅니다 — 자체 모니터링(RAG 로그·UTM 태깅 등)을 설계해야 합니다.

 


 

8) 비용·ROI 관점

 

 

  • 🔎 SEO: 초기 투자(콘텐츠·링크빌딩·기술개선) → 중장기 유기적 성과(지속적 트래픽).
  • 🧠 GEO: 콘텐츠 재구조화·메타작업 비용, RAG·인덱싱 시스템 도입 비용 → 빠르게 ‘노출되는’ 효과(특히 브랜드 인지도) + 간접 트래픽.
  • 전략적 판단: 빠른 브랜드 가시성이 필요하면 GEO 우선, 트래픽·전환 목표면 SEO 장기 전략 병행.

 


 

 


 

9) 위험·한계(Risks & Caveats)

 

 

  • 🔎 SEO: 알고리즘 변화(패널티), 오랜 시간 소요, 경쟁 심화.
  • 🧠 GEO: AI가 내 문장을 임의로 재작성하거나 맥락을 바꿔 인용할 수 있음(환각 가능성), 인용여부·형태가 플랫폼에 따라 달라 정확한 KPI 확보 어려움, 저작권·데이터 공개 문제.
  • 윤리: GEO 최적화 시 의도적 ‘과장’이나 오도(왜곡) 유도는 브랜드 리스크를 키움.

 


 

10) 언제 무엇을 우선할까(우선순위 가이드)

 

 

  • 신규 브랜드 / 빠른 인지도 필요 → GEO 우선(핵심 메시지·FAQ·증거·JSON-LD 준비).
  • 전환·판매 중심 / 장기 트래픽 기반 → SEO 우선(콘텐츠 허브·백링크·기술 SEO).
  • 가장 안전한 선택 → 둘 다: 페이지 레이아웃을 “GEO용 요약 박스(상단)” + “SEO용 긴 콘텐츠(하단)”로 구성.

 


 

11) 실무 체크리스트

 

 

  • 페이지 상단에 한 문장 핵심 답변(Answer-first) 추가 (GEO).
  • FAQ 블록(6개 이상, 각 1–2문장) 추가 (GEO + SEO).
  • JSON-LD: Article + FAQ + Author + Organization 삽입 (GEO).
  • 메타타이틀·메타디스크립션 최적화 (SEO).
  • 내부링크·콘텐츠 허브 구성 (SEO).
  • 중요 데이터·근거는 원문 링크로 노출(공개 가능 범위) (GEO).
  • 페이지 속도·모바일 최적화(둘 다).
  • RAG용 인덱싱/피드 연결(기업 내부 문서가 있다면) (GEO).
  • 저작권·데이터 사용권 검토(둘 다, 특히 GEO).

 


 

12) 빠른 예시(같은 페이지를 SEO+GEO에 모두 맞추는 구조)

 

  1. Top (GEO-friendly): 두 문장 요약 + 핵심 숫자(인용 링크) + FAQ 3개
  2. Middle (SEO-friendly): 길고 깊이 있는 설명, 서브헤더, 사례, 이미지, 내부/외부 링크
  3. Bottom: 참고문헌(출처), 업데이트일, 저자 프로필(JSON-LD 포함)

 


 

 

 

이렇게

 

GEO 와 SEO 의 차이점에 대해서 공유해봤는데요!

 

확실히

 

인터넷 검색을 주로 하던 시대에서 

 

AI 를 이용해서 검색을 하는 시대가 되어가니

 

많은 변화가 있는듯 합니다! ㅎㅎ

 

잘 이해하셔서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공감/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용어] GEO 란 무엇인가?!

[용어] GEO 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추석 연휴들은 잘 보내셨나 모르겠네요 ㅎㅎ 오늘은 SEO 검색 최적화 처럼 GEO 라는 단어가 있는데 이게 어떤건지 왜 중요한지 등등 자세히 정리해서 공유해

solbel.tistory.com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