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공모주 청약
- 리눅스
- 제이쿼리
- 주식
- Stock
- MYSQL
- Oracle
- IPO
- Eclipse
- php
- SQL
- css
- JavaScript
- 자바스크립트
- 주식 청약 일정
- 코드이그나이터
- 7월 공모주 청약 일정
- jquery
- java
- 공모주
- linux
- 6월 공모주 청약 일정
- 오라클
- 주식 청약
- 자바
- 공모주 청약 일정
- html
- 맥
- Stock ipo
- codeigniter
Archives
- Today
- Total
개발자의 끄적끄적
[파도] 파도가 치는 원인과 원리!! 본문
728x90
반응형
[파도] 파도가 치는 원인과 원리!!
안녕하세요!
추석 연휴들은 잘 보내셨나 모르겠네요 ㅎㅎ
저는 이번에 동해쪽으로 여행을 다녀왔는데요!
문득 파도를 보고,
파도가 치는 원인과 원리가 너무 궁금해져서
찾아본 내용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 1. 기본 원인: 바람(Wind)이 만드는 에너지 전달
💨 (1) 바람이 해수면을 밀어올림
- 바람이 불면 공기와 물 표면 사이의 마찰력이 발생합니다.
- 이 마찰력이 바람의 운동 에너지를 바다 표면으로 전달하면서 **작은 물결(리플, ripple)**이 생깁니다.
- 시간이 지나면서 이 에너지가 누적되어 **파도(wave)**로 커집니다.
⚙️ (2) 에너지 전달의 원리
- 파도는 “물 자체”가 멀리 이동하는 게 아니라, 에너지의 전달 형태로 움직입니다.
- 물 입자는 제자리에서 원형(또는 타원형) 운동을 하며, 에너지만 옆으로 전달됩니다.
🔹 예시
잔잔한 바다에 돌을 던지면 원이 퍼지듯이,
한 점의 에너지가 주변으로 전달되는 것이 파동의 기본 원리입니다.
🌊 2. 파도의 종류와 생성 위치
🌬️ 풍성파(Wind Wave)
- 바람이 직접 만들어내는 일반적인 파도입니다.
- 풍속이 강하고, 바람이 오래 지속되고, 넓은 바다(풍역, fetch)가 넓을수록 큰 파도가 만들어집니다.
📘 3요소 공식
1️⃣ 바람의 세기(strength)
2️⃣ 바람이 부는 시간(duration)
3️⃣ 바람이 부는 거리(fetch)
이 세 가지가 클수록 파도의 크기와 에너지가 커집니다.
🌪️ 너울(Swell)
- 태풍이나 폭풍 등에서 만들어진 큰 파도가 수천 km 떨어진 곳까지 전파된 것입니다.
- 이미 생성된 파도가 에너지를 잃지 않고 멀리 이동하면서 규칙적이고 길고 완만한 파형을 만듭니다.
- 한국의 동해안이나 제주 해안에 도달하는 “태풍 너울성 파도”가 대표적 예입니다.
🌎 3. 해저 지형과 수심 변화의 영향
🏖️ (1) 얕은 바다에서의 변화 — 굴절, 반사, 쇄파
- 파도는 깊은 바다에서 해안으로 오면서 수심이 점점 얕아지면 속도가 느려지고 높이가 커집니다.
- 파장(물결의 길이)은 짧아지고, 파고(높이)는 커지며, 결국 **부서지는 파도(쇄파, breaking wave)**가 됩니다.
📘 쇄파의 원리
- 파도 아래쪽은 바닥과 마찰하며 느려지지만,
- 위쪽은 계속 빠르게 이동하면서 앞으로 넘어지듯 부서짐.
↩️ (2) 굴절(Refraction)
- 해저 지형이 일정하지 않으면 파도의 진행 방향이 바뀝니다.
- 해안선이 볼록한 곳(곶)에는 파도가 집중되고, 오목한 곳(만)은 상대적으로 약해집니다.
- → 해안 침식과 퇴적의 원인
🌑 4. 달과 태양의 인력에 의한 조석(潮汐) 파동
🌕 (1) 조석파(Tidal Wave)의 원리
- 달과 태양의 중력(인력) 때문에 바닷물이 주기적으로 들고 나는 현상이 ‘조석’입니다.
- 이때 발생하는 거대한 규모의 느린 파동을 조석파라고 합니다.
- 일반 파도와 달리, 바람이 아닌 천체의 인력이 원인입니다.
📘 특징
- 주기: 약 12시간 25분 (달의 하루 회전 주기)
- 예: 강화도, 인천처럼 조차(밀물·썰물 높이 차)가 큰 지역
⚡ 5. 해저 지진·산사태로 인한 특수 파도
🌋 (1) 지진해일 (Tsunami)
- 해저 지진, 화산폭발, 산사태 등으로 해저 지형이 급격히 변할 때 발생
- 바닥이 들리거나 꺼지면서 거대한 수괴(水塊)가 이동
- 깊은 바다에서는 파고가 작지만, 해안 근처 얕은 곳에서 급격히 높아져 파괴력 큰 파도로 변함
📘 예: 2011년 일본 동일본 대지진 당시 쓰나미
🌫️ 6. 인공적 요인과 기타 파동
🚢 (1) 선박파(Wake Wave)
- 큰 선박이 움직이면서 밀어내는 인공 파도
- 주로 항구나 강에서 발생
🌧️ (2) 기압차 파도(Meteorological Wave)
- 태풍, 저기압, 강한 기류로 인한 해면 기압 변화로도 파도 형성
- “기상 해일(meteorological surge)”로도 불림
🧩 7. 파도의 구성요소와 용어
용어 | 설명 |
파고 (Wave Height) | 파도의 높이 (골에서 마루까지) |
파장 (Wave Length) | 파도 한 주기의 길이 (마루~마루 거리) |
주기 (Period) | 한 파도가 지나가는 데 걸리는 시간 |
속도 (Celerity) | 파동이 진행하는 속도 |
파력 (Wave Energy) | 파도의 높이 제곱에 비례 → 높을수록 에너지 급증 |
📚 요약 정리
구분 | 주요 원인 | 특징 | 대표 예시 |
🌬️ 풍성파 | 바람의 마찰 | 일반적인 해안 파도 | 바람 부는 날 바다 |
🌪️ 너울 | 먼 태풍의 잔류 에너지 | 주기적이고 큰 파도 | 동해안 너울성 파도 |
🌕 조석파 | 달·태양 인력 | 느리고 주기적 수면 변화 | 밀물·썰물 |
🌋 지진해일 | 해저 지형 급변 | 속도 빠르고 파괴력 큼 | 쓰나미 |
🚢 선박파 | 인공적 수면 교란 | 좁은 수역에서 발생 | 항구·운하 |
이렇게
파도가 치는 원리와 원인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파도도 여러 종류가 있고, 원인도 다향한걸 알수 있는데요!
일단 바람이 불거나, 파도가 높으면 물놀이는 삼가시고, 조심하시는게 좋을듯 하네요! ㅎㅎ
다들 참고하시고, 여행이나 물놀이시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공감/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기타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GEO 란 무엇인가?! (0) | 2025.10.13 |
---|---|
[상조] 상조서비스 지금가입 VS 나중에 가입 차이점은?? (1) | 2025.10.06 |
[정책] 중국인 무비자(visa-free) 입국 정책이란?? (1) | 2025.10.05 |
[용어] '직장 내 괴롭힘' 이란?? (2) | 2025.10.03 |
[용어] '성인지감수성' 이란?? (1) | 2025.10.02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