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7월 공모주 청약 일정
- css
- MYSQL
- 자바
- IPO
- 자바스크립트
- 공모주 청약
- php
- Stock
- 리눅스
- 주식
- java
- Eclipse
- codeigniter
- Oracle
- SQL
- 오라클
- 공모주 청약 일정
- 제이쿼리
- 주식 청약
- 주식 청약 일정
- html
- 맥
- JavaScript
- linux
- 6월 공모주 청약 일정
- 코드이그나이터
- Stock ipo
- jquery
- 공모주
Archives
- Today
- Total
개발자의 끄적끄적
[건강] 헴스트링 스트레칭 방법!! 본문
728x90
반응형
[건강] 헴스트링 스트레칭 방법!!
안녕하세요!
최근 런닝머신을 이용해서
운동을 조금씩 시작하다보니..
헴스트링이 땡기고 찌릿찌릿한 느낌이 오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물론 운동부족이겠지만 ㅠ
이 헴스트링이 뭔지 스트레칭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등등
자세히 공유하면 도움이 되실거 같아서 준비해봤습니다!
🦵 기초 이해 — 헴스트링이란?
- 헴스트링은 허벅지 뒤쪽의 세 근육(대퇴이두근·반건양근·반막양근)로 엉덩이(고관절) 신전 + 무릎 굽힘 역할을 함.
- 단순히 ‘늘리기’만 할 게 아니라 유연성 + 힘(특히 편심력) 균형을 맞춰야 부상 예방에 유리함.
🤸♀️ 스트레칭 전 준비(워밍업)
- 항상 가볍게 5–10분 워밍업(조깅, 사이클, 점핑잭 등)으로 혈류↑, 근육 온도 올리기.
- 차가운 상태에서 강한 정적 스트레칭은 근육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음.
🔁 동적 스트레칭(운동 전) — 활성화하고 가동범위 확보
목적: 관절 가동성·신경-근육 준비. 10–12회씩 1–2세트.
- 다리 앞뒤 스윙(정면/측면)
- 자세: 지지대 잡고 한쪽 다리를 앞으로 뒤로 자연스럽게 스윙.
- 포인트: 허리 굽히지 말고 고관절에서 스윙.
- 걷기 런지 + 햄스트링 텐션(워킹 햄스트링)
- 앞으로 한걸음 내디디고 앞다리 곧게 펴며 상체 숙여 햄스트링 당김, 교체하며 걷기.
- 무릎 높이 걷기 → 뒤꿈치-엉덩이 터치(힙·햄 재연결)
- 가볍게 20~30m 반복.
🪑 정적 스트레칭(운동 후 · 회복용) — 근육 길이 늘리기
목적: 근육 이완, 유연성 향상. 강도: ‘견딜 만한 당김’(약 4/10). 각 자세 30초 유지 × 2–3세트 / 측면마다.
- 앉아서 다리 곧게 펴고 앞으로 몸 숙이기 (Seated Hamstring Stretch)
- 방법: 한쪽 다리 곧게 펴고 다른 쪽은 구부려 발바닥 안쪽 붙임. 상체를 골반(Hip)에서 접듯 앞으로 숙여 발끝 향함.
- 주의: 허리 굽히지 않고 골반을 앞쪽으로 기울이듯. 등 둥글면 햄스트링이 덜 늘어남.
- 누워서 스트랩으로 다리 올리기 (Supine Hamstring Stretch / Strap)
- 방법: 누워 한쪽 다리 스트랩(타월)로 발바닥을 잡고 다리를 곧게 올림(가능한 범위). 발끝은 천천히 당겨 발등 쪽으로.
- 장점: 허리에 부담 적음. 발목·무릎 살짝 굽혀도 무방.
- 서서 한 발 올려 발꿈치 올린 상태에서 몸 숙이기 (Standing Elevated Hamstring Stretch)
- 방법: 의자나 낮은 박스 위에 발꿈치 올리고 정강이 수직, 골반에서 앞으로 숙여 늘리기.
- 실전 팁: 허리가 굽지 않게 주의.
- 벽을 이용한 다리 올리기(Leg-up-the-wall)
- 방법: 골반을 벽과 가까이한 상태에서 등을 대고 누워 한쪽 다리를 벽에 올림. 발끝 당겨 유지. 부담 적음.
💪 PNF(수축-이완) — 더 깊은 유연성 얻기
- 방법(가장 보편적인 컨트랙트-릴랙스): 누워 스트랩 사용
- 다리를 올려 20–30초 가볍게 스트레칭(긴장감 느껴짐).
- 스트랩을 당기며 햄스트링을 최대한 5–10초 동안 등척성 수축 (발을 스트랩으로 바깥쪽으로 미는 식으로 저항). 수축은 아주 강하게 하지 말고 통증 없이 수행.
- 2–3초 이완 → 다리를 더 깊게 스트레칭하여 10–20초 유지.
- 이 사이클을 2–3회 반복.
- 효과: 신경-근육 반사(골지건기관 등)로 더 깊은 이완 유도.
⚙️ 빈도·강도·진행
- 빈도: 유연성 목표라면 주 3–5회, 유지 목적이면 2–3회/주.
- 강도: 견딜 수 있는 당김 — 통증(날카로운 통증)은 피함.
- 세트·시간: 정적 30초×2–3(측면) / PNF: 20–30초(준비) + (수축5–10s + 이완10–20s) ×2–3.
❌ 흔한 실수 & 교정 포인트
- 등/허리가 둥글게 굽는 것 → 골반에서 굽히도록 지도.
- 무릎을 꼭 펴야 한다는 강박 → 무릎 약간 굽혀도 OK(무릎과 체형 보호).
- 바운싱(반동)으로 강하게 늘리기 → 미세 손상·염증 유발.
- 바로 강한 정적 스트레칭 후 폭발 운동(스프린트, 점프) → 근력 저하 가능. (정적은 운동 후가 적절)
🏋️ 햄스트링 강화 병행(부상 예방에 필수)
- 스트레칭만으로는 부족. 힘 훈련과 함께 해야 재발·부상 방지.
- 글루트 브리지(Glute Bridge): 둔근 활성화.
- 레그 컬(머신 혹은 탄력밴드): 햄스트링 강화.
- 노르딕 햄스트링 컬(Nordic hamstring curl): 편심성 강화에 탁월(처음엔 보조 사용).
- 빈도: 주 2회 정도 편심·체중 저항 훈련 포함 권장.
⚠️ 주의사항(특히 통증·부상 시)
- 급성 통증·부상(찢어지는 느낌·즉시 걷기 불가): 즉시 운동 중단, 냉찜질·의료진 상담(초기 48–72시간은 RICE 원칙).
- 만성 통증·쉼에도 지속되는 통증: 전문의(정형외과·스포츠의학) 또는 물리치료사 상담 권장.
- 허리 디스크·신경증상(다리 저림, 마비, 배뇨·배변 이상 등)이 동반되면 즉시 의사 진료 필요.
🧘 호흡·자세 팁(효과 ↑)
- 스트레칭 시 천천히 호흡: 들이마시며 준비 → 내쉬며 더 깊게 이완.
- 각 홀드 초반 2–3회 긴 호흡으로 근육 풀기.
- 스트레칭은 근육의 신전 수용체를 자극하는 과정이므로 급하게 하지 말기.
📋 예시 루틴(초보자용, 세션 후)
- 워밍업 5–10분(가벼운 조깅)
- 다리 스윙 10회 × 각 다리 2세트
- 누워서 스트랩 햄스트링 30초 × 2세트(각 다리)
- 앉아 앞으로 굽히기 30초 × 2세트
- 글루트 브리지 12회 × 2세트(강화)
- — 총 소요 약 15–20분
이렇게
헴스트링인 뭔지,
스트레칭은 어떻게 하는지, 호흡 및 자세, 운동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다들 잘 참고하셔서
운동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공감/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기타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직장 내 괴롭힘' 이란?? (2) | 2025.10.03 |
---|---|
[용어] '성인지감수성' 이란?? (1) | 2025.10.02 |
[건강] 운동을 할때 아킬레스건이 찌릿찌릿한 느낌이 나는 이유는? (1) | 2025.09.26 |
[기후] 태풍의 모든것!! (1) | 2025.09.25 |
[용어] '억까' 의 의미는?? (5) | 2025.09.2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