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주식 청약
- 코드이그나이터
- html
- 공모주
- 공모주 청약 일정
- JavaScript
- Oracle
- Stock ipo
- codeigniter
- Stock
- IPO
- java
- 자바
- 리눅스
- SQL
- 주식
- 7월 공모주 청약 일정
- php
- 제이쿼리
- linux
- MYSQL
- 맥
- 오라클
- 주식 청약 일정
- 자바스크립트
- css
- jquery
- 6월 공모주 청약 일정
- 공모주 청약
- Eclipse
Archives
- Today
- Total
개발자의 끄적끄적
[휴대폰] 단통법이란?? 본문
728x90
반응형
[휴대폰] 단통법이란??
안녕하세요!
최근 단통법이 폐지되면서 휴대폰 가격의 변동이 엄청 큰데요!
단통법이 뭔지, 왜 휴대폰 가격의 변동이 생기는지,
장단점은 어떤게 있는지 자세히 정리해서 공유해보겠습니다!
🧠 개념·정식 명칭
- 정식명칭: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통칭 단통법)
- 시행: 2014년 10월부터
- 취지: 단말기 보조금·가격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차별지급·과열경쟁을 막고, 소비자 가격 혼란을 줄이기 위함.
🧭 제정 배경·목표
- 배경: 이통사·유통점별로 ‘눈치 보조금(암거래·페이백)’이 난무 → 동일 상품도 고객·시점마다 가격 편차가 큼.
- 목표
- 보조금 공개(공시) 및 규칙화
- 차별 지급 금지(고객 유형·요금제·번호이동 여부 등에 따른 차별 방지)
- 표시·광고를 표준화해 정보비대칭 완화
🧰 핵심 규제 요소
- 공시지원금 제도: 이통사가 단말기별 지원금을 공개(공시)하고, 누구나 동일 조건이면 동일 보조금 적용.
- 추가지원금: 대리점·유통점이 이통사 공시지원금의 **일정 비율 내(통상 공시금의 15% 이내)**에서 추가할인 가능.
- 차별 금지: 신규/번호이동/기기변경, 고객 연령·직업, 특정 요금제 강제 등에 따른 차별적 지원 금지.
- 허위·과장 광고 금지: 출고가·보조금·할부조건·약정기간 등을 명확 표기해야 함.
- 불법 리베이트 금지: 현금 페이백, 뒷거래식 추가혜택 등 비공식 금전 제공 금지.
※ 초기에는 지원금 상한제가 함께 운영된 시기도 있으나 제도 구성·세부 수치는 시점별로 변동이 있었음.
🧮 합법 할인 수단(消費자 선택지)
- 공시지원금: 단말기 가격에서 즉시할인(유통점 추가지원금 포함 가능).
- 선택약정 요금할인: 단말 보조금 대신 **요금 할인(통상 25% 수준)**을 받는 방식.
- 제조사 프로모션: 출고가 인하·쿠폰·사은품 등 제조사 자체 할인(이통 보조금과는 별개).
- 자급제 + 요금제 선택: 단말은 자급제로 사고, 알뜰폰(MVNO) 포함 원하는 요금제에 가입.
🚨 위반 시 제재
- 시정명령·과징금·과태료 부과 가능
-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중대·반복 위반 시)
- 소비자 유인 목적의 불법 페이백 적발 시 판매점·대리점 제재 및 소비자 측 혜택 환수·계약 취소 위험
📈 시장 영향(장단점·논쟁)
- 장점
- 가격·보조금 정보가 표준화되어 호갱 방지
- 특정 집단에 대한 차별 지급 관행 완화
- 과열 ‘보조금 전쟁’ 억제 → 유통 안정
- 단점/논쟁
- 체감 보조금 축소로 초기 구매가 부담 증가 지적
- ‘성지·페이백’ 등 음성 거래가 다른 형태로 잔존
- 보조금이 규칙화되며 출고가 인하 유인 감소 논쟁
- 완전자급제·분리공시(제조사 vs 이통사 보조금 분리 표기) 등 대체 제도 논의 지속
🔎 소비자 체크리스트
- 같은 단말·같은 요금조건에서 공시지원금이 동일한지 확인
- 공시지원금 vs 선택약정(요금할인) 중 총비용 유리한 쪽 계산(약정기간·위약금 포함)
- 추가지원금(대리점) 범위와 실제 반영 금액 명확히 서면 확인
- 불법 페이백 유혹 주의(사후 환수·계약 해지 리스크)
- 자급제 + 알뜰폰 조합도 총비용 비교
🔄 개정·폐지 논의 포인트(요약)
- 보조금 공시 방식 개선(분리공시 등 투명성 강화 주장)
- 유통 규제 완화/정비와 완전자급제 확대 논의
- 소비자 체감 가격 인하를 위한 출고가 정책·요금제 구조 개선 병행 필요
이렇게 단통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단통법으로 장점도 있고 단점도 있지만,
가입할때 요금제나 부가서비스, 단말기 기기 등은
단통법이 폐지되든 아니든 소비자가 자세히 알아보고 판단해야되니
늘 꼼꼼히 잘 체크하셔서 합리적이 소비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공감/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기타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 누릉지의 효능과 단점 (2) | 2025.08.27 |
---|---|
[건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란?? (15) | 2025.08.25 |
[건강] '풍진'이란?? 임산부에게 위험한 이유?? (4) | 2025.08.24 |
[용어] '임장' 이란?? (3) | 2025.08.23 |
[민방위] 민방위 훈련의 개념, 주기, 통제 방식 (7) | 2025.08.2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