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의 끄적끄적

[용어] AWS 와 Azure 용어와 서비스 명칭 정리 본문

기타/컴퓨터

[용어] AWS 와 Azure 용어와 서비스 명칭 정리

효벨 2025. 7. 15. 09:00
728x90
반응형

[용어] AWS 와 Azure 용어와 서비스 명칭 정리

 

made by Gemini

 

 

안녕하세요!

 

본업으로 다시 돌아와서

 

보통 개발할때 AWS 환경에서 많이 세팅하고

 

AWS 서비스들을 이용해서 개발을 진행하고는 하는데요,

 

몇몇의 경우에는 Azure 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이용해서

 

개발을 진행하고 서비스 환경을 구성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용어도 다르고, 서비스 내용도 달라서

 

오늘은 간단하게라도

 

많이 쓰이는 항목들에 대한 각각 용어들과 서비스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 AWS vs Azure 서비스/용어 비교표

 

기능/서비스 영역 AWS 명칭 Azure 명칭 설명
가상 머신 (VM) EC2 (Elastic Compute Cloud) Virtual Machines 클라우드상에서 서버를 운영할 수 있는 기본 서비스
오토스케일링 Auto Scaling Virtual Machine Scale Sets 트래픽에 따라 인스턴스 자동 조절
서버리스 컴퓨팅 AWS Lambda Azure Functions 코드만 올리면 자동 실행되는 서버리스 플랫폼
컨테이너 관리 ECS / EKS Azure Container Instances / AKS 도커 컨테이너 및 쿠버네티스 관리
오브젝트 스토리지 S3 (Simple Storage Service) Blob Storage 이미지, 동영상, 백업 등을 저장하는 객체 스토리지
블록 스토리지 EBS (Elastic Block Store) Managed Disks VM에 연결되는 디스크 저장소
파일 스토리지 EFS (Elastic File System) Azure Files 네트워크 공유 파일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Azure SQL Database 관리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NoSQL 데이터베이스 DynamoDB Azure Cosmos DB 고성능, 분산형 NoSQL DB
CDN CloudFront Azure CDN 전 세계 콘텐츠 전송 가속
DNS 서비스 Route 53 Azure DNS 도메인 관리 및 트래픽 라우팅
모니터링/로깅 CloudWatch Azure Monitor / Log Analytics 리소스 상태 모니터링 및 알림 설정
인증 및 IAM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Azure Active Directory (AAD) 사용자 인증 및 권한 관리
VPC/네트워크 VPC (Virtual Private Cloud) Virtual Network (VNet) 클라우드 내부 가상 네트워크 구성
로드 밸런서 ELB (Elastic Load Balancer) Azure Load Balancer / Application Gateway 트래픽 분산 기능
데브옵스 서비스 CodePipeline / CodeBuild / CodeDeploy Azure DevOps / GitHub Actions CI/CD 및 자동화 도구
클라우드 보안 AWS WAF / Shield Azure WAF / Security Center DDoS 방어 및 보안 정책 설정
AI/ML 플랫폼 SageMaker Azure Machine Learning 인공지능 모델 개발 및 배포
IoT 플랫폼 AWS IoT Core Azure IoT Hub IoT 디바이스 연결 및 관리

 


 

💡 참고 팁

 

  • Azure는 MS 생태계(Active Directory, Office 365)와 연동이 뛰어남
  • AWS는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로 서비스 범위가 넓고 문서가 풍부
  • 두 플랫폼 모두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서버리스, 빅데이터 분석 등을 지원

 


 

 

이렇게 AWS 와 Azure 에서 사용하는 명칭의 차이와

 

그게 어떤 서비스인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추가적으로 Azure 의 경우 MS 제품군과의 호환성이 좋기때문에

 

MS 제품과 연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 플랫폼들다 사용이 어렵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금액책정방식과 약간의 세팅이 다르기때문에

 

적응이 필요하긴 합니다!

 

참고들 하시구요!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공감/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