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6월 공모주 청약 일정
- css
- 자바
- linux
- Stock ipo
- 맥
- 자바스크립트
- 공모주
- 코드이그나이터
- Stock
- 리눅스
- Oracle
- SQL
- html
- 오라클
- codeigniter
- 제이쿼리
- java
- 주식 청약 일정
- JavaScript
- IPO
- 주식
- jquery
- MYSQL
- 공모주 청약
- 7월 공모주 청약 일정
- 공모주 청약 일정
- 주식 청약
- php
- Eclipse
Archives
- Today
- Total
개발자의 끄적끄적
[코인] '스테이블 코인'이란? 어떤게 이슈인가? 본문
728x90
반응형
[코인] '스테이블 코인'이란? 어떤게 이슈인가?
안녕하세요!
요즘 뉴스나 블로그들을 보면
'스테이블 코인' 이라는 단어가 많이 눈에 띄는데요!
이게 뭔지, 암호화폐인지 너무 궁금해서
찾아본 내용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시대가 급변하는건지, 제가 적응이 느린건지...ㅎㅎㅎ
뭐가 엄청 생겨나고 빠르게 변해가는 세상인거 같아서
모르는건 바로바로 조사해보고 공유하려고 합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세요!
✅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이란?
항목 | 설명 |
정의 | 법정화폐(예: 달러, 원화), 금 등의 자산과 1:1로 연동해 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설계된 암호화폐 |
목적 | 암호화폐의 변동성 문제 해결, 디지털 결제나 송금 수단으로 안정적 사용 |
사용처 | 크립토 거래소 간 송금, 결제, 탈중앙금융(DeFi), NFT 거래 등 |
🪙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 종류
구분 | 설명 | 예시 |
법정화폐 담보형 | 실물 자산(예: USD)을 실제 은행 계좌에 보관해 가치 유지 | USDT(테더), USDC(서클), BUSD |
암호화폐 담보형 | 다른 암호화폐를 담보로 과잉 설정 (가격 급락 대비) | DAI |
알고리즘 기반형 | 알고리즘으로 공급량을 조절해 가격 안정 | 과거의 UST (루나 사태) |
⚠️ 최근 이슈 및 논란
이슈 | 설명 |
루나/UST 붕괴 사건 (2022) |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 UST가 디페깅(1달러 이탈) → 루나와 함께 폭락, 수십조 손실 |
투명성 논란 | USDT(테더) 등 일부 코인은 진짜로 달러가 있는지 투명성에 의문 제기 |
규제 강화 움직임 | 미국 SEC, 한국 금융위 등에서 자산 증빙과 리스크 관리 규제 강화 움직임 중 |
CBDC와의 경쟁 | 각국 중앙은행의 디지털화폐(CBDC)가 출시되면 스테이블코인의 필요성이 줄어들 수 있음 |
✅ 스테이블코인의 장점과 단점
장점 | 단점 |
✅ 암호화폐 거래의 가격 안정성 확보 | ❌ 법정화폐 담보의 투명성 부족 (감사 미흡 등) |
✅ 해외 송금, 빠른 결제에 유리 | ❌ 알고리즘형은 시장 충격에 매우 취약 |
✅ DeFi(탈중앙금융)에서 핵심 통화로 사용 | ❌ 규제 대상 가능성 높음, 중앙화 구조일 수도 있음 |
📌 대표 스테이블코인 비교표
이름 | 담보 방식 | 발행사 | 특징 |
USDT (Tether) | 법정화폐 (USD) | Tether Ltd | 거래소에서 가장 널리 사용, 투명성 논란 |
USDC | 법정화폐 (USD) | Circle / Coinbase | 회계 감사 있음, 상대적으로 신뢰↑ |
DAI | 암호화폐 (ETH 등) | MakerDAO | 탈중앙화 구조, 커뮤니티 운영 |
FRAX | 혼합형 (알고리즘+법정화폐) | Frax Finance | 실험적인 구조, 성장 중 |
TUSD | 법정화폐 (USD) | TrustToken | 회계투명성 강조, 미국 규제 친화적 |
💬 자주 묻는 질문 (FAQ)
Q. 스테이블코인도 투자 대상인가요?
→ 수익성보다는 가치 안정성과 결제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DeFi에서 예치하면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어요.
Q. 한국에서도 스테이블코인을 쓰나요?
→ 직접적으로 쓰는 경우는 드물지만, 가상자산 거래소 간 송금, NFT 거래, 해외 결제 등에서 사용되고 있어요.
Q. 앞으로 스테이블코인은 사라질까요?
→ CBDC 도입과 규제 강화로 역할이 일부 줄어들 가능성은 있지만, DeFi와 Web3 생태계에서는 중요한 통화 수단으로 계속 사용될 전망입니다.
이렇게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비트코인의 개념도 복잡하고 어려운데.. ㅠ
뭐가 계속 생겨나네요! ㅠㅠ
다들 잘 참고하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공감/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기타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쟁] 이스라엘 전쟁에 미국이 개입한 이유와 파급 효과 (41) | 2025.06.24 |
---|---|
[건강] 용종의 종류, 특징, 제거 이유, 주의사항! (45) | 2025.06.23 |
[화폐] CBDC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 란? (54) | 2025.06.21 |
[건강] 목이 아플때 권장 검진 (46) | 2025.06.20 |
[벌레] 러브버그란? 주의사항은? (69) | 2025.06.19 |
Comments